• 최종편집 2024-04-11(목)
  • 전체메뉴보기
 
▲ 강석화 시인

얼마 전에 서천문화원에서 ‘2018 중고제 맥잇기 종합포럼’이 열렸다. 중고제(中高制)는 충청지역에서 불리던 판소리 유파의 한 갈래이다.

서천은 당대 5명창 중의 2인이며 중고제 판소리의 마지막 명창인 이동백과 김창룡의 고향이다. 그 인연으로 중고제를 되살리려는 문화운동이 이어지고 있다. 

나는 중고제라는 이름이 국토의 중간 지역이라는 의미인 줄 알았다. 이번에 알고 보니 낡은 고물을 뜻하는 중고였다.

판소리는 <고제-중고제-신제>의 단계로 변화되었다고 한다. 예인들에 의해 시작된 초기의 판소리를 고제라 하고 그것이 나름의 형식을 갖춘 단계를 중고제, 1930년대 이후에 전라도를 중심으로 발전한 소리를 신제라 한다는 것이다. 잘 알려진 서편제와 동편제는 신제에 속한다. 

주제발표에는 배연형 전 판소리학회장, 정병헌 전 숙명여대 교수, 주재근 국립부산국악원 장악과장이 나섰다. 이어서 정연창 충청남도 문화유산과장과 한광윤 홍성군 문화관광과장, 이근우 충남문화재단 문화사업팀장, 신웅순 중부대 명예교수가 토론자로 나서 질의응답에 임했다.

발표자나 토론자 면면이 상당했다. 서천의 의견을 내세울 만한 토론자가 없는 점은 아쉬웠다.

그들의 발표에서 중고제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판소리라 하면 전라도의 음악으로 인식되지만 사실은 경기, 충청지역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 흔적이 중고제인데 제대로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 중고제가 복원되어 동편제, 서편제와 함께 한 축을 형성할 수 있다면 판소리 음악의 발전은 물론이며 돈으로 살 수 없는 지역문화의 엄청난 자원이 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간단하지 않다. 발표자들의 의견은 중고제 명창의 일부 공연이 유성기 음반으로 남아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되살려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일단 원형을 정립하고 젊은 층에게 이를 교육하여 전승자를 육성하며 동시에 꾸준히 발표무대를 유지해야 한다. 사실상 복원의 과정이며 매우 어렵고 오래 걸리는 일이다.

중고제 맥잇기의 어려움은 이동백과 김창룡이 제자를 두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정광수가 이동백에게 적벽가 중 ‘삼고초려’를 배운 인연이 있지만 이는 그가 서편제와 동편제를 두루 섭렵하던 많은 공부 중에 하나로 봐야할 것이다.

이 때문에 학계에서는 중고제의 전승이 사실상 끊어졌다고 보는 듯하다. 반면에 정광수의 제자인 박성환을 통해 중고제의 맥이 가늘게나마 이어지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박성환은 서천에 중고제판소리학당을 개설하고 나름대로 전승에 힘쓰고 있다. 이날 행사에도 출연하여 오프닝 공연을 했다. 

보다 본질적인 문제는 판소리로서 중고제가 갖는 차별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에 있다. 동편제나 서편제에 구별되는 중고제만의 특성이 뚜렷하지 않다는 것이다.

중고제는 매우 즉흥성이 강해서 이동백이나 김창룡도 같은 대목을 두 번 똑같이 부른 적이 없다고 한다.

이렇다면 어느 것을 정형으로 삼아야할지도 이론이 생기게 된다. 맥을 잇는다고 할 때, 백가쟁명이 될 수 있는 상황이다.

이 문제는 학계에서 권위 있는 연구를 통해 방향과 방법을 잡아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창법 면에서도 저음에서 시작해서 창자가 부를 수 있는 고음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이 말은 이 외에는 특징이랄 게 거의 없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이처럼 비정형적이며 기교가 많지 않은 이유는 중고제가 양반문화의 영향을 받은 가곡풍의 소리에서 출발한, 판소리의 초기 형태이기 때문일 것이다.

예스럽고 단순하기 때문에 중고제는 30년대 이후 전라도 소리꾼들에게 폄하되곤 했다고 한다.

판소리를 배우러 다른 지역의 소리꾼들도 전라도로 배우러 가는 형편이었다. 이는 중고제가 세력을 잃어가는 주된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넓게 보자면 이러한 약점은 중고제만의 것이 아니다. 현대 음악에 비하면 국악 자체가 이론적으로나 기교면에서 고졸함을 면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우리는 국악만의 매력을 찾아내며 이를 지키고 있다.

중고제의 고졸한 특징을 오히려 장점으로 인지하고 이를 부각하는 것이 중고제 되살리기의 본질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판소리는 응당 전라도 사투리로 해야 제 맛이 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원류는 충청도였다. 아마도 중고제는 충청도의 유장한 가락과 말투로 짜여있을 것이다.

즉흥성은 원형 재현이 어렵지만 극복만 된다면 변화무쌍한 흥미의 요소가 된다. 가락이 단순하고 기교가 적음은 판소리에 익숙하지 않은 현대인이 접근하기 유리한 장점이 될 수 있다. 

나는 일전에 내포제 시조를 한 수 배운 적이 있다. 가락이 단순하고 창법이 판소리와는 달리 맑은 편이어서 쉽게 흉내낼 수 있었다.

중고제도 같은 충청도 소리이므로 시조와 판소리의 차이일 뿐 내포제와 근본은 많이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중고제야말로 오히려 현대인의 취향에 맞는 음악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옛것을 되살려 새것으로 만드는 길에 중고제가 함께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칼럼】중고제 판소리는 되살아날 것인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